홈쇼핑보험이 저렴한 이유는 뭘까? 아니 저렴하긴해?
- 보험/보험정보
- 2016. 10. 12. 15:33
요즘 보험에 대한 관심이 부쩍 늘었습니다. 지금이야 돈이 없어서 자동차보험이나 실손보험이 끝이라지만 나중엔 어찌될지 모르는 것이니까요.
가족이 생기고 혹은 부양해야할 누군가가 생긴다면.. 그때 들어가는 보험비용만 하더라도 장난이 아니지요.
그리고 이미 부모님이나 형제들 중에서 가입한 보험에서도 이런저런 문제점이 보이니 도무지 그대로는 못있겠어서 이래저래 알아보고 있습니다.
그러던 중에서도 여전히 성행하는 홈쇼핑 보험을 보면 혹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왠지 홈쇼핑보험은 조금 더 싼것 같고, 왠지 홈쇼핑보험이 과장 같지만 왠지 집중이 잘되고 유독 소리도 크게 나오고 하다보니 굉장히 집중도 잘되는 편이고 그렇습니다.
그렇게 홈쇼핑보험의 경우 다양한 보험을 판매하면서 소비자들을 현혹하고 있는데요.
일단 홈쇼핑보험은 다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홈쇼핑회사가 광고하는 일종의 다이렉트 채널이자 공동구매 방식으로 일정한 보험료의 절감? 형태로 시작되었다고도 합니다.
하지만 실상은 홈쇼핑으로 광고를 내보내기 위해서 들어가는 광고비용 역시 결과적으로는 보험사에서 지출하는 것이고 보험사의 소득은 고객 - 보험계약자의 주머니에서 나온 돈이니 결국 우리들의 돈으로 홈쇼핑 광고를 보고 있는 것이지요.
홈쇼핑 역시 소비자들의 구매를 통해서 먹고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므로 우리돈내고 우리가 광고하고 우리가 광고해주고 뭐.. 그렇게 보는 시각이 조금 더 올바른 것이 아닐까 싶습니다.
본론으로 다시 돌아와 홈쇼핑보험을 보면 보험료가 싸보입니다. 이렇게 보험이 싸보이는 이유는 특정한 보험 상품들을 위주로 판매하고 있기 때문도 있습니다.
기억을 되돌려 보시면.. 일오사사 ㅇㅇㅇㅇ 와 같은 실버보험, 건강보험 중에서도 노령층 관련 보험, 치아보험 (트로트 가수 장윤정씨가 대표적인 모델이죠), 운전자보험 (0원의 행복이 대표적) 과 같은 특정 세부 보험들을 판매한다는 점도 한 몫을 합니다.
쉽게 가격을 최대한 낮춰서 소비자들을 유혹하기 위해서 아예 따로만든 그런 형태라고도 볼 수 있겠네요. (개인의견)
하지만 보험료가 낮다면 그만큼 보장도 소흘하기 쉽습니다.
보험회사는 수익 = 고객의 보험료로 먹고사는 회사입니다. 고객의 손실을 메꿔주긴 하지만 우리가 일상생활하면서 몇년 동안 보험료를 꼬박 내도 그중에 한번 보험금을 탈까말까 한 사람이 대다수이기 때문에 사실상 보험사는 항상 이득이고, 고객 중에서 이득보는 사람은 극히 드뭅니다.
다시말하자면. 보험사는 철두철미하게 계산해서 손해보지 않은 선에서 상품을 만들고 홍보하기 때문에 별로 손해볼만한 상품이라면 잘 팔지 않는 것이 보통입니다.
간혹 손해볼 상품을 잘못 계산해서 시장에 내놓았다가 손해율이 기가막히게 올라가면 황급이 판매를 종료시키기도 하지만 극히 드문 경우이고, 이마저도 나중에 다른 보험에서 환수하는 행태를 보이기 때문에 내나 그놈이 그놈이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
홈쇼핑보험이 저렴한건 이밖에도 갱신형 상품이 많거나 보장기간이 짧고 지급 확률이 낮은.. 결과적으로 표면적으로는 좋아보이지만 하나하나 뜯어보면 왠지 소비자에게 불리한 형태가 많아
일단 싸게는 보이지만 나중에 보니 문제가 좀 있는 그런 보험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다시 쉽게 말하면 싸보이게 만들은 만큼 하자가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를 반증하듯 보험상품들 중에서 홈쇼핑보험의 민원이 다른 채널의 보험상품보다 많습니다.
물론 좋은 보험상품도 있을 순 있을겁니다. 하지만 거듭 말씀드리지만 보험회사는 고객에게 돈 퍼줄려고 머리아프게 계산기 두들겨가면서 상품 내놓지 않습니다.
고객의 이익 = 보험회사의 손해 = 보험회사 망함 이라고 단순하게 생각하고 접근하는 것도 오히려 좋겠네요.
하지만 현실은 고객의 손실 = 보험회사의 흥행 = 보험회사 영원이 안망함으로 돌아가고 있고, 금융당국도 이를 도와주는 양상이기 때문에 소비자들만 피해를보는 게 아닌가 싶습니다.
하지만!
모르는 분들만 손해이고 그나마 아는 분들은 덜 손해보면서 (원래 보험은 손해보는 금융상품) 보다 나은 삶을 산다고 봐야 할 겁니다.
한달에 들어가는 보험료만 잘 계산해봐도 어렵지 않게 답을 내릴 수 있을거라 봅니다.
아무리 많아도 본인 소득의 10%는 넘기지 않도록.. 잘 조절하시길 바랍니다.